시작하며
제주도의 한적한 마을을 걷다 보면, 마치 꽃이 만발한 듯한 아름다운 정원을 마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면, 이곳은 단순한 정원이 아닌 오랜 세월 동안 정성껏 가꿔진 특별한 공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곳의 주인은 제주도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한 할아버지로, 식물들을 가족처럼 아끼며 그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그에게 정원은 단순한 취미 공간이 아니라, 삶과 추억이 깃든 소중한 곳입니다. 오늘은 이 아름다운 공간과 그곳에 담긴 따뜻한 이야기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자연과 함께하는 삶
① 식물과 나누는 대화
이 정원의 주인인 할아버지께서는 매일 식물들과 대화를 나누십니다. 마치 친구처럼 식물들에게 말을 걸며 안부를 묻고, 그들의 성장에 기쁨을 느끼십니다. 그중에서도 영월’이라는 다육식물을 특별히 아끼십니다. 이 식물은 절벽에서 가져와 키운 것으로, 강한 생명력을 지닌 것이 특징입니다. 할아버지께서는 이 식물을 통해 돌아가신 어머니를 향한 마음을 담아왔습니다.
② 자연이 주는 선물, 다육식물
제주도의 기후는 다육식물이 번성하기에 적합합니다. 할아버지께서는 다육식물 중에서도 영월의 이파리를 직접 따서 드시기도 합니다. 새콤한 맛이 나며 수분이 많아 갈증 해소에도 좋다고 하십니다. 하지만 식물에 대한 지식 없이 아무거나 먹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시며,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선별해 키우고 계십니다.
2. 함께 나누는 정원
① 이웃과 나누는 온정
할아버지께서는 혼자 사시는 할머니를 위해 직접 기른 영월을 가져다드리며 건강을 챙겨드리고 계십니다. 누군가를 챙기는 것이 당연한 일처럼 행동하시는 모습에서 따뜻한 인품이 느껴집니다. 그는 “어머니를 생각하며 가꾼 식물이지만, 이웃과 함께 나누는 것이 더욱 의미 있는 일”이라고 말씀하십니다.
② 고향 같은 집
정원뿐만 아니라 할아버지의 집도 제주도의 전통 가옥 구조를 살려 지어졌습니다. 바깥채와 안채가 따로 있으며, 부부가 함께 사는 공간과 손님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아드님이 결혼하면 주려고 준비한 집도 있지만, 자녀분들은 모두 도시로 떠났습니다. 이제는 방문객들이 잠시 쉬어가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3. 오랜 시간 함께한 감귤 농사
① 감귤로 일군 삶
할아버지께서는 감귤 농사를 시작한 지 40년이 넘으셨습니다. 처음에는 작은 밭에서 시작하셨지만, 성실한 노력 끝에 지금은 **6,000평**이 넘는 감귤밭을 일구셨습니다. 감귤을 수확해 자녀들을 대학까지 보내셨으며, 가족을 부양하며 살아오셨습니다.
② 손끝에 묻어나는 정성
감귤밭을 돌보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하나하나 손으로 직접 수확해야 하고, 상한 감귤은 골라내야 합니다. 하지만 할아버지께서는 힘든 기색 없이 농사를 지으며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가고 계십니다. "이 감귤 덕분에 가족이 먹고살았고, 아이들을 키웠으니 고마운 존재입니다."라고 말씀하십니다.
4. 돈보다 소중한 가치
① 집을 팔겠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
이 집과 정원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어떤 분들은 집을 사고 싶어 하며, 높은 가격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할아버지께서는 단호하게 거절하셨습니다. "돈이 문제가 아니라, 이곳에는 제 삶의 추억과 역사가 담겨 있습니다."라고 말씀하십니다.
② 하늘을 향한 마음
어릴 적 부모님을 여의고 홀로 성장하신 할아버지께서는, 돌아가신 어머니께서 하늘에서 이 정원을 지켜보실 것이라 믿고 계십니다. 정원을 가꾸며 어머니를 떠올리고, 그리운 마음을 담아왔습니다. 그에게 이 정원은 단순한 식물이 있는 공간이 아니라, 어머니와의 연결고리이자 삶의 일부입니다.
마치며
제주의 한적한 마을에 자리한 이 작은 정원과 따뜻한 집. 그곳에는 돈으로 살 수 없는 가치가 담겨 있습니다. 식물을 돌보며 삶의 의미를 찾고, 이웃과 따뜻한 정을 나누며 살아가는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그의 정원은 단순한 식물들이 자라는 공간이 아니라, 세월이 빚어낸 삶의 흔적이 깃든 곳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