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제주도 집, 지금 사야 할까요? 석원도에서 본 투자 타이밍

by 김도현 여행길 2025. 6. 22.

시작하며

제주도 부동산을 둘러보며 늘 듣는 질문이 있습니다.

"지금 제주도에 집을 사야 할까요?"

이 질문은 단순히 시세 차트를 보는 것으로는 답할 수 없습니다.

제가 자주 가는 곳, 제주 석원도와 썩은섬 이야기를 풀어보며,

지금 제주도에서 집을 산다는 의미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1. 썩은섬 연정이 담긴 석원도, 그곳의 풍경

(1) 이름은 썩었지만 마음은 닿아 있는 곳

‘썩은섬’이라는 이름을 처음 들으면 다들 눈살을 찌푸립니다.

하지만 그 이름에는 사연이 있습니다.

밀물이 빠졌을 때 육지와 섬을 잇는 길이 드러나는 이곳은

예전 바다 생물이 썩어 고래까지 죽은 채 떠밀려왔던

슬픈 기억이 남아 있는 곳입니다.

그런데도 이 섬을 걷는 마음은 묘하게 따뜻합니다.

‘연정(戀情)’,

이어질 수 없어도 간절히 닿고 싶은 마음이 섬의 길에 담겼지요.

(2) 요즘 이곳엔 누가 오고 있을까

제가 석원도를 찾을 때마다,

텐트를 치고 바다를 바라보는 사람들,

끝자락에서 낚시하는 이들이 눈에 띕니다.

조용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이라

이런 풍경이 가능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2. 부동산은 언제 살까? 질문에 대한 대답

(1) 2018년부터 제주를 지켜보신 분의 질문

얼마 전, 제 영상을 오래 봐오셨다는 분이

이런 질문을 남기셨습니다.

"언제 제주에 집을 사는 게 좋을까요?"

그리고 제 대답은 명확했습니다.

"지금 사세요."

2018년엔 제주 집값이 높았고,

지금은 오히려 그때보다 낮아진 곳들이 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당시 타이밍을 놓쳤다며 아쉬워했지요.

(2) 집을 산다는 것, 단순한 선택이 아닙니다

부동산은 살 때보다 나중에 팔 때 더 어렵습니다.

그래서 더 신중해야 하고,

단순한 가격이나 인테리어만 보면 안 됩니다.

📝 집 살 때 반드시 고려할 조건들

구분 체크할 포인트
전기 인입 여부 전봇대에서 거리, 인입 비용
상하수도 정화조 설치 여부, 하수도 연계
습도 문제 습한 지역 여부 확인
풍향·지형 바람 세기, 바위 많은 지역인지
관리 가능성 향후 10~20년 유지관리 가능 여부
월세·전세 활용성 집을 비울 때의 활용도

이 모든 것을 직접 검토하고

비용까지 감안해야 집을 ‘산다’는 말이 완성됩니다.

 

3. 석원도의 가능성과 한계

(1) 실제로 매물도 있습니다

석원도에도 간간이 매물이 나옵니다.

하지만 시작이 어렵습니다.

전기, 물, 정화조 모두 시작 단계라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들어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지역에 처음 발을 들이는 이들이 결국 기회를 잡습니다.

누군가의 시작이 그 지역의 흐름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2) 비즈니스는 어렵습니다

요즘엔 이곳에 에어비앤비, 게스트하우스도 있습니다.

하지만 잘 된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사업은 물론이고,

집 하나 짓는 일조차도 결코 쉽지 않은 환경입니다.

📝 처음 개발하는 지역에서 생기는 주요 문제들

문제 유형 실제 예시
자재 운반 섬으로 자재 반입 어려움
기초 공사 습지, 암반 등 예측 어려움
비용 상승 외지 인력, 전기·상수도 설치비
허가 문제 개발 허가, 용도 변경 까다로움
자연 재해 바람, 파도, 침수 위험

이런 곳에 투자하려면

많은 시간과 정보, 경험이 필요합니다.

 

4. 지금 사도 될까요? 결론은 “지금이 기회”

(1) 지금은 ‘골라서 살 수 있는’ 시기

2018년엔 제주에 멋진 집들이 별로 없었습니다.

그때보다 지금은 집의 선택지가 넓습니다.

심지어 그 당시보다 가격이 낮아진 곳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결론은 간단합니다.

지금은 오히려 좋은 기회입니다.

(2) 부동산은 결국 ‘로케이션’

로케이션이란,

당장 수익을 낼 수 있는 위치를 말하는 게 아닙니다.

필요할 때 임대도 가능하고,

오래 살아도 불편하지 않은 곳이 진짜 ‘로케이션’입니다.

특히 제주처럼 변수가 많은 지역에서는

지역의 성격이 부동산의 ‘수익’보다도 더 중요합니다.

📝 좋은 부동산을 판단할 때 생각해볼 요소들

요소 판단 기준
인프라 접근성 병원, 마트, 학교 거리
월세·전세 수요 인근 인구 구조, 임대 시장 규모
지역 개발 방향 도로, 산업단지 계획 여부
지역성 땅이 가진 성격, 바람·지형 등
관리 용이성 외지인이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인지

 

마치며

제주에서 집을 산다는 건

단순히 ‘언제 사야 할까’보다

‘어떻게 준비할까’에 더 가까운 질문입니다.

지금은 선택지가 많고,

어느 정도 가격이 내려온 시기입니다.

지금 사도 됩니다.

다만,

공부 없이 사면 후회하고

정보 없이 판단하면 실패합니다.

공부하고, 공유하고, 질문하며

좋은 타이밍과 기회를 잡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