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삼성전자가 2025년 하반기에 준비 중인 갤럭시 Z 플립7, 갤럭시 탭 S11, 그리고 새로운 플립 FE와 S25 FE 모델에 대한 소식이 연이어 나오고 있습니다. 기대감 속에 반가운 소식도 있지만, 예상과 달리 아쉬운 소식들도 들려오고 있는데요. 특히 엑시노스 2500 칩셋과 관련된 이야기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삼성 신제품들의 핵심 소식과 앞으로의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갤럭시 Z 플립7, 결국 엑시노스 대신 스냅드래곤 탑재
(1) 플래그십 폴더블에 엑시노스 탑재가 무산된 이유
올해 하반기 출시될 갤럭시 Z 플립7에는 결국 엑시노스 2500 칩셋이 탑재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해외 IT 매체 보도에 따르면, 삼성 내부 테스트를 통과한 플립7은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을 사용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변화가 생긴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엑시노스 2500의 생산 수율 부족
- 기대 이하의 성능 점수
- 폴더블 프리미엄 이미지 유지 필요
(2) 엑시노스 2500의 실제 성능 기록은 어땠나?
엑시노스 2500은 긱벤치 기준으로 싱글코어 1,449점, 멀티코어 6,986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동세대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로, 플래그십에 걸맞지 않은 결과였습니다.
2. 삼성의 하반기 FE 모델, 예상과 다른 칩셋 탑재 소식
(1) 갤럭시 S25 FE는 어떤 칩셋을 쓸까?
올해 출시될 갤럭시 S25 FE 모델에는 엑시노스 2500의 다운클럭 버전 대신, 작년 모델과 같은 엑시노스 2402 칩셋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FE 모델 칩셋 관련 주요 정보 요약:
📋 S25 FE에 쓰일 칩셋 정리
모델명 | 예상 칩셋 | 특징 |
---|---|---|
S25 FE | 엑시노스 2402 | S24 FE와 동일, 다운클럭 버전 |
플립 FE | 엑시노스 2402 | 신모델에도 구형 칩셋 사용 |
(2) 플립 FE도 같은 칩셋?
새롭게 등장할 플립 FE 모델(B7R 코드명) 역시 엑시노스 2402가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원래 플립 FE에는 엑시노스 2500이 들어갈 가능성도 거론됐지만, 결국 안정성과 생산 이슈로 방향이 바뀐 셈입니다.
3. 갤럭시 탭 S11 시리즈, 미디어텍 디멘시티 칩셋 선택
(1) 탭 S11과 S11 울트라에 디멘시티 9400 탑재
삼성은 올해 하반기에 출시할 갤럭시 탭 S11 시리즈에 미디어텍 디멘시티 9400 칩셋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디멘시티 9400 칩셋 특징 요약
📋 디멘시티 9400 간단 정리
항목 | 내용 |
---|---|
제조사 | 미디어텍 |
성능 | 스냅드래곤 8 엘리트 대비 약 10% 낮음 |
장점 | 가격 경쟁력 확보 가능 |
단점 | 스냅드래곤 대비 성능 약간 부족 |
(2) 왜 미디어텍을 선택했을까?
스냅드래곤 칩셋 가격이 크게 오른 상황에서, 삼성은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미디어텍 칩셋을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지난해 탭 S10 시리즈에 이어 두 번째 선택입니다.
4. 갤럭시 탭 S10 라이트, 추가 출시 예정
(1) 탭 S10 FE와 별개로 라이트 버전 등장
삼성은 갤럭시 탭 S10 FE를 이미 출시했음에도, 추가로 갤럭시 탭 S10 라이트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례적인 행보인데요.
갤럭시 탭 S10 라이트 특징 한눈에 보기
📋 탭 S10 라이트 정리
모델명 | 탑재 칩셋 | 포지션 |
---|---|---|
탭 S10 라이트 | 엑시노스 1380 | 탭 S10 FE보다 하위 모델 |
(2) 라이트 버전이 추가되는 이유는?
아직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확보해 소비자 선택 폭을 넓히려는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태블릿 시장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5. 앞으로 남은 변수와 예상
(1) 아직 확정은 아니다?
엑시노스 2500이 완전히 탈락했다고 확정된 것은 아닙니다. 아직 공식 발표 전이기 때문에, 최종 양산 및 테스트 결과에 따라 일부 모델에 엑시노스가 들어갈 가능성도 완전히 닫힌 것은 아닙니다.
(2) 삼성의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
플래그십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가격 경쟁력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은 삼성에게 쉽지 않은 숙제입니다. 이번 하반기 신제품은 그런 고민 끝에 나온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2025년 하반기 삼성의 신제품들은 기대와 아쉬움이 함께하는 분위기입니다. 엑시노스 2500의 부진으로 인해 스냅드래곤과 미디어텍 중심으로 구성된 이번 라인업은, 삼성의 전략 변화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출시까지 남은 기간 동안 또 다른 변수가 생길지, 기대감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전자제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만으로도 충분한 AI, BitNet 1.58bit 모델 직접 설치 후기 (0) | 2025.04.29 |
---|---|
2025 삼성 에어컨 라인업 차이점과 추천 모델 총정리 (0) | 2025.04.28 |
AI 영상 편집, 진짜 자동화 시대가 올까? MCP 기술로 본 미래 전망 (0) | 2025.04.28 |
갤럭시 S25 울트라, 원UI 8 변화 총정리: 기대할 만한 점은? (0) | 2025.04.28 |
M4 맥북, 에어 말고 프로 사야 하는 진짜 이유 (0)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