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제품 관련

에어팟이 꺼져 있어도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이유는

by 김도현 여행길 2025. 4. 27.

시작하며

"인터넷도 안 되는 에어팟을 어떻게 찾는 걸까?"

에어팟이나 아이폰을 놓고 나왔을 때, 갑자기 ‘나의 찾기’ 기능으로 그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면 놀랍지 않으신가요? 특히 기기가 꺼져 있거나 인터넷이 안 되는 상황에서도 기기 위치를 찾아주는 기능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그 원리에 대해 궁금해합니다. 이 글에서는 ‘나의 찾기(Find My)’ 기능이 작동하는 구조, 그리고 그 안에 숨겨진 암호화 기술과 보안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봅니다.

 

1. 나의 찾기 기능, 어떻게 작동할까?

(1) ‘나의 찾기’는 단순 위치 추적 앱이 아니다

많은 분들이 ‘나의 찾기’는 GPS 기반 위치 추적으로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인터넷이 안 되는 기기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비결은 바로, 다른 애플 기기들이 조난 신호를 받아 대신 서버에 올려주는 구조입니다.

(2) ‘조난 신호’는 어떻게 작동할까?

에어팟이 주인을 떠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작은 구조 신호(BLE 신호)를 주변으로 뿌립니다. 이 신호는 다른 애플 기기(아이폰, 맥북 등)에 의해 수신되고, 해당 정보를 애플 서버로 올려주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다음 표는 그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단계 내용
1단계 기기에서 조난 신호(Bluetooth Low Energy 신호) 발생
2단계 주변 애플 기기가 신호 수신
3단계 수신한 애플 기기가 위치 및 시각 정보를 암호화하여 애플 서버로 전송
4단계 사용자 요청 시, 서버에 저장된 정보로 기기 위치 제공

이런 방식 덕분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 심지어 전원이 꺼진 기기까지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2. 개인정보는 안전할까? 암호화 원리로 살펴보기

(1) 내가 모르는 사이, 내 기기에서 정보가 전송된다?

많은 사용자들이 우려하는 부분은 이 지점입니다. "내 아이폰이 다른 기기의 위치를 서버에 보내고 있다면, 나의 위치 정보도 노출되는 것 아니냐?" 하지만 이 문제는 암호화 기술로 해결되고 있습니다.

(2) 대칭 vs 비대칭 키 암호화란?

암호화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구분 대칭 키 암호화 비대칭 키 암호화
키 종류 하나의 키로 잠금/해제 서로 다른 키 사용 (공개키/개인키)
특징 속도 빠름, 키 유출 위험 보안성 높음, 속도 느림
예시 AES RSA, ECC(타원 곡선 암호)

비대칭 키 암호화는 공개키로 잠그고, 개인키로 여는 방식입니다. 이때 공개키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지만, 해독은 오직 개인키를 가진 사람만 가능하므로 보안성이 매우 높습니다.

 

3. '나의 찾기'가 보안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

(1) RSA는 안전하지만 무겁다

초기에는 RSA 암호화 방식을 사용했지만, 이 방식은 공개키 크기가 커서 BLE 신호로 보내기에는 배터리 소모가 크고 비효율적이었습니다. RSA 방식은 보안성은 높지만, 신호를 자주 보내기 어렵게 만든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2) 애플은 왜 '타원 곡선 암호'를 선택했을까?

애플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라는 암호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ECC의 장점
보안 수준 RSA와 비슷한 수준의 보안
키 길이 훨씬 짧은 길이로 가능
배터리 소모 낮은 전력 소비
사용성 BLE 패킷 하나로 조난 신호 전송 가능

결과적으로, 작은 기기들(에어팟, 애플펜슬, 에어태그 등)도 오프라인 상태에서 위치를 알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4. 조난 신호 추적이 사생활 침해가 되지 않으려면?

(1) 고정된 공개키는 추적 위험이 있다

공개키가 계속 동일하면, 그 키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역으로 추적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변화하는 공개키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2) 시간에 따라 바뀌는 키 사용

애플은 각 기기가 일정 시간마다 새로운 공개키를 생성하도록 설계했습니다. 비밀번호 없이 보면 완전히 랜덤한 숫자처럼 보이지만, 내부 알고리즘을 통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생성된 것입니다.

이 시스템은 마치 우리가 사용하는 OTP(일회용 비밀번호)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그래서 지속적인 추적이 불가능하고, 보안성과 사생활 보호 모두 만족시키는 구조가 완성된 것입니다.

 

5. 보안과 편리함,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기술

(1) 인터넷 연결 없이 기기를 찾을 수 있는 이유 요약

요소 설명
조난 신호 BLE로 보내는 신호
수신 기기 주변 애플 기기들이 수신 후 서버로 전송
암호화 ECC 방식으로 정보 보호
키 변경 시간에 따라 키 자동 갱신
배터리 절약 짧은 키로 신호 최소화

이 기술 덕분에, 에어팟을 차 안에 두고 내린 후에도 집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전원이 꺼진 아이폰도 일정 시간은 추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됩니다.

(2)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기능 도입 중

애플이 선보인 이 시스템은 현재 삼성, 구글 등도 유사한 방식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애플 생태계 내부에서의 연동력정교한 키 관리 시스템은 다른 기업들이 쉽게 따라오지 못하는 부분입니다.

 

마치며

인터넷 없이도 기기를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은 처음에는 신기하게 느껴지지만, 그 안에는 수많은 기기들의 협력 네트워크고도화된 암호화 기술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나의 찾기 기능은 단순한 편의 기능이 아니라, 보안과 효율을 모두 만족시킨 기술의 집약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에어팟, 애플펜슬, 에어태그 등 다양한 애플 기기들이 이 기능을 지원하면서, 이제는 작은 소지품 하나도 놓치지 않고 찾을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이 기술의 핵심 원리를 알고 나면, 단순한 기기 추적을 넘어선 정보 보호 철학까지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